서버의 물리적인 수량을 줄임으로써 상면 비용의 절감과 공간의 절약 및 쿨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.
가상화는 단순히 서버의 물리적인 수량을 줄이는 것이 아닌 다음의 추가적인 이점이 있고, 모든 자원을 논리화(가상화)함으로써 인프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. 또한 실시간으로 컴퓨팅 자원의 재분배와 배치,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. 그리고 집중되고 변화하는 업무에 리소스를 추가 할당할 수 있으며 빠른 서버 생성이 가능하다.
결론적으로 서버 컴퓨터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시스템에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이 개발 및 도입되었다.
물리적인 서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서버를 ‘가상서버’ 또는 ‘가상머신’이라고 한다.
표 서버 가상화 용어
용어 | 내용 |
Bare-Metal Server | 하드웨어로만 구성되어져 있는 전통적인 서버 |
Server Virtualization | 물리적인 한 대의 서버를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나누어 여러 대의 서버로 사용하는 것 |
Hypervisor (Host OS) | 한 대의 물리적인 서버를 논리적으로 여러 대인 것처럼 만들어주는 운영체제 |
Virtual Machine | 물리적인 컴퓨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것 |
Guest OS | 가상 머신에 설치된 운영체제 |
Virtual Hardware | 가상 머신의 하드웨어 (예: vCPU, vRAM, vDisk) |
Virtual Network | 서버 내부에서 가상 머신간의 통신 및 외부로의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|
Provisioning |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, 배치,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 시 시스템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 |
가상화를 통해 유형/무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. 일반적으로 가상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 가능하다.
표 가상화의 유형 효과
구분 | 설명 | 절감 효과 |
물리적 서버의 감소 | § 물리적인 서버를 가상 서버로 대체 § 가상서버의 사용으로 서버 신규 구매 요구 급감, 유휴 서버의 재활용 |
높음 |
네트워크 장비 도입 감소 |
§ 서버수의 물리적 감소로 물리적인 스위치, 라우터 대수 감소. § 가상 스위치/vLAN/가상이중화 등으로 대체 § 유휴 장비로 추가 이중화 가능하여 신뢰도 제고 |
높음 |
전력 비용 감소 | § 장비 자체 소모 및 냉방 관련 소비전력의 대폭감소 | 적음 |
하드웨어 상면 감소 | § 고가의 상면 비용 절감 | 보통 |
하드웨어 유지비용 감소 | § H/W 유지보수 비용 대폭감소 및 운영 비용 감소. | 높음 |
소프트웨어 관리비용 감소 | § License 다운그레이드 한 경우 유지보수 비용 감소. § OS 비용은 거의 변화 없음. |
적음 |
네트워크 관리 비용 감소 | § 네트워크 장비 감소에 따른 비용감소 | 적음 |
가상화의 도입으로 다양한 유형 효과가 있으나, 가상화 S/W(VMWare, Microsoft virtual Server, Etc.) 라이센스에 대한 비용이 발생한다.
표 가상화의 무형 효과
구분 | 설명 | 절감 효과 |
장비 도입절차의 신속성 | § 가상서버, 스위치, 디스크, NIC 등을 생성 및 복제 | 높음 |
운영의 편리성 | § 운영의 편리성으로 기회비용 발생 | 보통 |
시스템 가용성 증가 | § SAN 및 NIC 이중화, VM 이동(Vmotion) 등의 기능으로 다운타임 감소. §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|
높음 |
현업요구에 즉시 대응 | § 장비공급 및 서비스 정책 변화, 신규업무 도입 등에 대해 신속히 대응. | 높음 |
개발/테스트/운영 생산성 | § 협업기능 극대화, VM 라이브러리 화 가능 § VM Template, Snapshot, Cloning 등 |
보통 |
효율적인 DR 및 HA 구성 | § 저비용의 N+1 Redundancy 구성 § 편리한 시스템 백업 및 복구 |
높음 |
가상화 기술은 다양한 무형의 효과가 있으나, 가상화 플랫폼 및 네트워크 엔지니어링, 운영에 대한 지식 및 경험이 수반되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.
'IT 이야기 > Server Virtualiz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werCLI: 폐쇄망에서의 환경 구축 방법 (1) | 2023.04.25 |
---|---|
PowerCLI: PowerShell 환경 설정 및 스크립트 실행 절차 (0) | 2023.04.25 |